[DA] 30일 데이터 분석가 챌린지 3일차 (What is Product?)
기본적으로 Data Analyst에서 SQL 활용 역량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Inflearn의 SQL 강의와 Leetcode를 통해서 SQL과 친해지길 바라를 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Data Analyst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과 더불어 쿼리 작성만 하려니 머리가 지끈지끈하다.
그래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고자 한다. 지식을 직접 적용해보는 것만큼 많이 배우는 것도 없을 뿐더러,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나에게는 가장 중요한 가치이기 때문에 사이드 프로젝트가 좋은 도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학교와 학회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한 적인 여러 번 있었지만, 교수님의 가이드나 학회의 목표에 부합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 온전히 내가 기획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걱정 반 설렘 반이다. 어느정도 기획이 되고 실제로 구현이 필요한 단계로 디벨롭이 되면 학회나 주변 지인을 통해 디자이너와 개발자에게 컨택을 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혹은 내가 AI 툴 등을 활용해서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역할까지 수행할까 생각하고 있기도 하다) 그래서 아이들이 학기가 시작하기 전, 8월 중순 쯤에는 기획과 가설 수립 단계를 마치고자 한다. 또한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인프런 강의를 가이드로 활용할 예정이므로, 강의에서 배운 내용과 프로젝트 기획을 같이 정리하며 진행할 듯 하다.
제품이란 무엇인가?
In marketing, a product is an object, or system, or service made available for comsumer use as of the consumer demand; it is anything that can be offered to a market to satisfy the desire or need of a customer
제품 =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제품이 해결하려는 문제는 무엇인가?(고객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제품일까?)
고객은 왜 해당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가? 또한 제품의 어떤 점이 매력적인가?를 정의해야 한다.
PMF(Product Market Fit)
PMF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세스
- Target User 정의
- 고객의 Needs 파악하기
- 현재 사용할 수 있는 대안 탐색하기
- 대안보다 더 좋은 가치를 주기 위해 어떤 것을 할 수 있을까?
- MVP, 최소 기능 확정
- MVP 프로토타입 제작
- MVP 테스트
AHA Moment
"고객이 제품의 핵심 가치를 처음 경험하는 순간" - 해당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스북 - 가입 후 최초 10일 이내에 7명의 친구와 연결되는 것
제품의 핵심 기능이 무엇일까? 그리고 그것을 고객이 잘 활용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습관형성
습관: 특정 시간 동안 반복적인 행동을 진행하는 경우
우리의 제품이 고객의 일상에 스며드는 것이 중요하다.
습관 형성에 대해 생각하기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가?
- 해결하려는 문제를 고객은 어떤 빈도로 겪는가? : 사용주기
습관의 3단계
- Cue: 루틴을 실행시키는 환경 → 핵심 신호
- Routine: 습관화하고 싶은 행동 → 반복 행동
- Reward: 행동을 통해 얻는 이득
💡 프로젝트에서 기획할 제품의 아래 요소들을 정의해보기
> Habit: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가?
> Cue: 루틴을 실행시키는 환경 → 핵심 신호
> Routine: 습관화하고 싶은 행동 → 반복 행동
> Reward: 행동을 통해 얻는 이득 </aside>
*Retention은 습관 형성의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제품을 만드는 핵심 Key Point
문제상황 → Aha Moment → 습관형성
💡 스스로에게 질문해보기
> 고객이 서비스를 왜 써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를 명확히 제시하기
> 우리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할 지 가이드를 제시한다. (온보딩을 통해 사용 가이드를 제공하기 등)
> 계속 재미있게 사용하도록 만들기: 사용 주기가 길다면, 고객이 겪을 문제 중 사용 주기가 짧은 서비스를 추가해 활성화하기(혹은 다시 사용해야 하는 시기에 알람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커뮤니티를 활성화해서 사용 주기가 길더라도 자주 들어와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
>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도식화를 해두는 것은 매출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600522
한 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 | 곤도 데쓰로 - 교보문고
한 장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모델 100 | 미래 비즈니스에 필요한 모든 전략을 한 눈에 파악하다!빠른 속도로 혁신을 이루는 스타트업 기업부터 아마존, 구글, 알리바바와 같은 세계적인 초격차 기
product.kyobobook.co.kr
문제 정의
MECE: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중복과 누락이 없고 각 요소를 모두 합하면 전체가 되는 것
Logic Tree
- 문제를 MECE 관점을 기반으로 Tree 형태로 정리
- 현상 분석, 원인 파악, 해결책을 구체화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