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성격에 따른 기획자의 업무
- 에이전시 / SI
- 업무: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서 빠르게 IT 제품을 만들어 납품하는 것
- 목표: 지정된 시간에 요청한 스펙을 빠르게 구현하는 것
- PMF를 찾는 중인 회사
- 업무: 신규 제품을 빠르게 구현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것
- 목표: MVP 주현 및 가설 검증
- PM-FIt를 이미 찾은 회사
- 업무: 기존 제품에 대한 고도화 및 성장
- 목표: 제품 고도화 및 성장(AARRR)
- 업무: 신규 플랫폼에 신규 프러덕트 발굴
- 목표: 성장할 수 있는 신규 가설에 대한 실험
MVP(최소 기능 제품)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제품
'MVP'의 목표는 근본적인 사업 가설을 테스트하는 것
→ 우선순위를 지속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
PMF(Product Market Fit)
The only thing that matters is getting to product / market fit
- LTV(LifeTime Value; 고객생애가치)
- 한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그 고객을 통해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하는 금전적 가치의 총액
- 개별 고객이 취하는 모든 행동과 상품을 통해 벌어들일 수 있는 한계 이익의 총합
- LTV = 사용자당 연간 평균 이익 x 평균 고객생애주기
- 평균 고객생애주기 = 1/이탈률
- 연간 이탈률이 50%라면, 일반 사용자의 경우 2년간 고객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신규 고객 1명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마케팅비와 영업비의 평균값
- 100만 달러짜리 마케팅 캠페인을 펼처 신규고객을 10만명 얻을 경우, CAC는 10달러이다.
- CAC = (마케팅비 + 영업비) / (신규고객 수)
- LTV와 CAC의 이상적인 비율
- LTV는 CAC보다 커야 한다.
- 고객 1명에게 벌어들일 수 있는 금액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지출하는 금액보다 커야 한다.
- LTV는 고객당 한계수익, CAC는 한계비용이며, 두 값의 차는 한계이익이다.
- LTV:CAC = 3:1이 비즈니스 모델에 있어서 이상적인 비율이다.
프리토타이핑 후 인터뷰의 목표는 제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고객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고객을 설득하려고 하지 말고, 기존 손님의 행동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OMTM(One Metric That Matters)
서비스의 성장을 위해 지금 우리가 꼭 집중해야 하는 목표
OMTM을 설정하고, 회사의 상황에 맞게 수정한다.
[Reference]
https://medium.com/radikal-studio/pmf-framework-5-steps-to-product-market-fit-2021-4c95a0c964ad
“PMF” framework — 5 steps to Product/Market fit (2021)
A battle-tested approach to build a successful startup
medium.com
https://brunch.co.kr/@bluemarble/47
CAC, LTV를 통해 제품 수익성 점검하기
고객에게 장기적 이익을 얻어내려면 단기적 손실을 감수해야 할 수 있다. CAC와 LTV라는 두 가지 핵심 지표를 토대로 제품의 이익을 확인해 볼 수 있다.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획득비용) 제
brunch.co.kr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 Chapter5.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 (1) | 2023.07.13 |
---|---|
[1주차] PM이 하는 일 (0) | 2023.07.06 |
[PM] Chapter03.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 (0) | 2023.07.04 |
[PM] PM을 준비한다면 알아야 하는 용어 모음집.zip [ing] (0) | 2023.07.04 |
[PM] Chapter 01 + 06. 서비스 기획 첫걸음 (0) | 202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