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Pre-Production
제품 및 서비스를 설계하는 단계
- 리서치
- IA 설계: 협의된 스펙을 바탕으로 메뉴를 분류하여 Depth 구조로 설계
- 서비스 플로우
- 어떤 사용자를 대상으로 어떤 컨텐츠를 전달할 것인가?
- 기존 사용자의 사용패턴은 어떠한가?
- 각 섹션별 방문 목적은 무엇인가?
- 콘텐츠
- 각 섹션에서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 컨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는 누구인가?
- 파트너향인가 사용자향인가?
- 커뮤니케이션
- 누구에서 전달될 자료인가?
- 어떤 용어로 통일하여 제공되어야 하는가?
- 해당 자료의 의도는 무엇인가?
- 서비스 플로우
Production
- QA(Quality Assurance)
- TC(Test Case) 제작
- 잔존 결함 발견 및 수정 요청
- 릴리즈 일정 조율
Released
서비스 기획 방법론
WaterFall
Agile
프로젝트의 반복주기를 짧게 나눔으로써 유연성을 확보
BUT, 팀의 방향성과 업무의 이해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기획자의 역할이 중요함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
서비스 기획자의 주요업무
서비스 컨셉 설정 단계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 Chapter5.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 (1) | 2023.07.13 |
---|---|
[1주차] PM이 하는 일 (0) | 2023.07.06 |
[PM] Chapter 4.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0) | 2023.07.05 |
[PM] Chapter03.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 (0) | 2023.07.04 |
[PM] PM을 준비한다면 알아야 하는 용어 모음집.zip [ing]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