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 Chapter 8. A/B Testing AB Test 란?임의로 나눠진 두 집단(A/B)에게 서로 다른 UI/UX 등을 제시하고, 두 집단 중 어떤 집단이 더 높은 성과를 보이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식 목표 설정 AB 테스트를 진행할 때 반드시 테스트의 목표를 구체화해야 한다.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유의미한 지표 선정 및 가설 설정이 가능해진다. 명확한 목표 설정 후, 그에 맞는 지표를 설정한다. 서비스 가입자를 늘리고 싶다면 서비스 가입 전환율, 버튼 클릭 인원을 늘리고 싶다면 버튼 클릭전환율을 지표로 잡을 수 있다. 지표를 설정할 때, 분자와 분모를 정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가설 수립 가설? 실험을 통해 반증 가능한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진술 예시 현재 3단계로 구성된 회원가입 flow을 1단계로 줄이면, 회원가입 전환율이 10% 상승.. 2023. 7. 16.
[PM] Chapter 8. MVP(Minimum Viable Product) MVP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의 노력을 들여, 고객에 대한 최대의 배움을 얻게 해주는 프로덕트 적은 기능을 가지고 있되, 핵심 기능은 온전히 동작해야 하며, 디자인, UX 등을 통해 고객의 근본 니즈(Need)나 욕구(Desire)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 MVP가 왜 필요할까? 출시 > 측정 > 배움 > Pivot / 개선으로 이어지는 피드백 루프를 가장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MVP 활용 사례 MVP는 프로덕트의 아주 핵심 기능만을 구현하거나 혹은 프리토타이핑을 통해 유저의 니즈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DropBox - 프로덕트의 소개 영상을 통해 시장의 반응을 확인 Airbnb - 본인의 집을 활용해서 시장의 니즈가 있는지 확인 기획자와 MVP 새로운 기능(제품)을 개발.. 2023. 7. 15.
[PM] Chapeter 6. B2C / B2B 서비스 서비스의 유형 B2B 개인 사용자에게 특정 가치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서비스 혹은 제품 B2C 서비스를 기획 할 때는 도메인에 대한 지식 혹은 애정이 필요하다. B2B B2B2C 확보된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사업자가 사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 기업과 기업 간 거래(Business to Business)와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usiness to Consumer)를 결합시킨 상거래 B2C 서비스 기획자 VS. B2B 서비스 기획자 2023. 7. 15.
[PM] Chapter5.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이란? Growth: 성장 Hacking: 해결(manage, cope) → 프로덕트의 성장을 위한 데이터 기반 문제 해결 방법론 AARRR 해적지표 퍼널 분석(Funnel Analysis)? → 잠재 고객의 유입부터 전환에 이르기까지 고객의 여정을 분석하는 모델 Funnel은 깔때기라는 뜻이 있고, 다이어그램도 이와 같은 형태로 표현됨 (각 단계를 거치면서 꾸준히 이탈하는 유저..) AARRR? AARRR은 퍼널 분석 중 하나! 해적지표(아ㅏ르르르!)라고도 불리는 이 용어는 미국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인 500 STARTSUPS를 이끄는 Dave McClure가 개발한 분석 프레임워크 사용자가 프로덕트를 사용하는 행동 방식을 5단계의 지표로 구분한 프레임워크 1... 2023. 7. 13.
[1주차] PM이 하는 일 PM(Product Manager)이란? 전문가로 이루어진 팀을 리드하며 제품의 비전을 제시하고, 발전을 이끌어 최고의 성과를 내는 것에 기여하는 사람 [주요 업무] 운영 중인 서비스의 개선 및 고도화 업무 담당 내부와 외부의 요구사항 취합 & 분석 제품 요구사항의 우선순위를 정리한 BackLog 관리 주요 지표의 관리 및 분석 제품의 성장기와 성숙기에 관여하며 각 단계에 적합한 전략 수립 전략 실행 및 분석을 통해 제품 성장을 리드 1. 문제 정의 팀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면 좋겠지만, 조직은 언제나 리소스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기획자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선택을 통해 팀을 관리해야 한다. Backlog를 통해 개발해야 할 기능 또는 제품에서 요구하는 기능.. 2023. 7. 6.
[PM] Chapter 4.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 회사 성격에 따른 기획자의 업무 에이전시 / SI 업무: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서 빠르게 IT 제품을 만들어 납품하는 것 목표: 지정된 시간에 요청한 스펙을 빠르게 구현하는 것 PMF를 찾는 중인 회사 업무: 신규 제품을 빠르게 구현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것 목표: MVP 주현 및 가설 검증 PM-FIt를 이미 찾은 회사 업무: 기존 제품에 대한 고도화 및 성장 목표: 제품 고도화 및 성장(AARRR) 업무: 신규 플랫폼에 신규 프러덕트 발굴 목표: 성장할 수 있는 신규 가설에 대한 실험 MVP(최소 기능 제품)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제품 'MVP'의 목표는 근본적인 사업 가설을 테스트하는 것 → 우선순위를 지속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 PMF(Product Ma.. 2023. 7. 5.
[PM] Chapter03.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것이 당연하지 않게 생각하는 습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 동료들로부터 신뢰를 형성하고, 리드할 수 있는 능력 IT 전반에 대한 이해 모바일 퍼스트(모바일 상에서 웹 구성을 먼저 고려하는 것) 하이브리드 앱(하이브리드 용 프레임워크 → React Native) API 테스트(using POSTMAN) 아이디어 도출 시장 진입 전 시장에 대한 분석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기획자가 중요하게 봐야 하는 데이터 : Conversion Rate, Cohort Retention 2023. 7. 4.
[PM] PM을 준비한다면 알아야 하는 용어 모음집.zip [ing] FE : Front-End BE : Back-End 벤치마킹 : 경쟁사나 특정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는 상대를 표적으로 현황 및 성과 차이를 비교하는 분석 FGI; Focus Group Interview : 정성 조사의 한 가지 방법으로 조사 진행자가 소수의 조사 대상자들을 한 장소에 모아 인터뷰를 진행함 로그 : 서비스 내에 발생하는 모든 동작과 이벤트에 따른 정보를 시간에 따라 남기는 데이터 대시보드 : 서비스 내 혹은 서비스 간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비교 할 수 있게 해주는 여러 뷰의 모음 페르소나 :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 할 만한 목표 연구 집단 안에 있는 다양한 사용자 유형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 IA; Information Architecture : 정보 구조도 주로 서비스 전체 .. 2023. 7. 4.
[PM] Chapter 01 + 06. 서비스 기획 첫걸음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Pre-Production 제품 및 서비스를 설계하는 단계 리서치 IA 설계: 협의된 스펙을 바탕으로 메뉴를 분류하여 Depth 구조로 설계 서비스 플로우 어떤 사용자를 대상으로 어떤 컨텐츠를 전달할 것인가? 기존 사용자의 사용패턴은 어떠한가? 각 섹션별 방문 목적은 무엇인가? 콘텐츠 각 섹션에서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컨텐츠에 접근하는 사용자는 누구인가? 파트너향인가 사용자향인가? 커뮤니케이션 누구에서 전달될 자료인가? 어떤 용어로 통일하여 제공되어야 하는가? 해당 자료의 의도는 무엇인가? Production QA(Quality Assurance) TC(Test Case) 제작 잔존 결함 발견 및 수정 요청 릴리즈 일정 조율 Released 서비스 기획 방법론 WaterFall A.. 2023. 7. 3.